금과 은 가격 급등, 1979년 이후 최대 상승률 가능성
안녕하세요 콘테입니다
2025년 들어 금값이 온스당 3,500달러를 넘어서는 등 사상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습니다. 연준의 금리 인하 시사, 달러 약세, 정치적 불확실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안전자산인 금과 은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금값 급등의 원인, 중기 전망, 그리고 은·플래티넘 등 다른 귀금속의 흐름까지 정리해드립니다.
금값 급등, 배경에는 연준의 정책 변화
올해 들어 금값은 33% 넘게 상승했습니다. 특히 파월 의장이 완화적 통화정책 가능성을 인정하면서 금 투자 매력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달러 약세가 겹치며 금은 ‘안전자산’으로서 더욱 각광받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정치적 리스크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둘러싼 법적 논란과 연준에 대한 정치적 압박은 미국 정책 신뢰도를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달러 자산에서 금으로 이동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으로 꼽힙니다.
인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근원 PCE 지수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오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금은 전통적으로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꼽히기 때문에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기술적 분석: 3,800달러까지 가능할까?
금값은 4월 이후 조정 국면에서 상승형 삼각형 패턴을 형성하다 최근 3,499달러 저항선을 돌파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3,800~3,9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단기 과열 신호는 있으나, 3,245달러 이상을 유지하는 한 중기 전망은 긍정적입니다.
은의 합류, 산업 수요까지 겹친 상승
은은 온스당 41달러를 돌파하며 10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금-은 가격 비율은 여전히 높아 추가 상승 여력이 크다는 분석입니다. 특히 은은 전기차, 태양광 등 친환경 산업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어 장기 투자 가치가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중앙은행의 매수와 지정학적 긴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은행들의 금 보유 확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투자 수요를 넘어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서 금과 은의 전략적 중요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플래티넘과 귀금속 전반의 강세
플래티넘 역시 11년 만에 고점 근처까지 오르며 귀금속 전반에 매수세가 퍼지고 있습니다. 각국의 외환보유고 다변화 흐름도 이런 추세를 뒷받침합니다.
투자자 전략: 레버리지 상품 활용
전문 투자자라면 금과 은 가격 변동성을 활용해 +3배 롱 골드, -3배 숏 골드 같은 레버리지 ETP 상품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변동성이 큰 만큼 철저한 위험 관리가 필수입니다.
금과 은의 미래
정치적 불확실성, 완화적 통화정책, 인플레이션 우려가 이어지는 한 금과 은의 상승세는 쉽게 꺾이지 않을 전망입니다. 단기 조정은 있겠지만, 중기적으로는 여전히 긍정적인 흐름이 예상됩니다.
자산 현재가(2025.9) 특징
금 | 3,546달러/온스 | 안전자산, 인플레이션 헤지 |
은 | 41달러/온스 | 산업·투자 이중 수요 |
플래티넘 | 11년 만의 고점 근처 | 공급 제한, 귀금속 랠리 동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