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늘의 금값, 국내외 시세 쉽게 확인하는 법

by 콘테1 2025. 9. 10.

 

금값 확인, 생각보다 간단하다

안녕하세요 콘테입니다.
최근 금값이 하루가 다르게 움직이다 보니, 재테크 관심 있는 분들이 “오늘의 금값”을 자주 검색하는 모습이 보이더라고요. 사실 주식이나 ETF처럼 실시간 매매가 가능한 자산과 달리, 금은 오랜 기간 안정성을 보는 투자라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런데 요즘처럼 가격 변동이 클 때는 단기적인 흐름을 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금 시세와 국제 금 시세를 쉽게 확인하는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1. 국내 금 시세 확인

가장 간단한 방법은 한국금거래소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겁니다.
검색창에 ‘한국금거래소’를 입력하면 바로 당일 기준 시세를 볼 수 있죠.

예를 들어 2025년 9월 3일 기준, 순금(24K, 1돈=3.75g)의 시세는

  • 매입가: 694,000원
  • 매도가: 580,000원

어제보다 11,000원이 올랐다는 표시가 붉은색으로 표시됩니다. 또한 1개월·5개월·1년 단위의 그래프를 통해 금값 흐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국제 금 시세 확인

국제 금값은 달러 단위로 표시됩니다. 2025년 9월 3일 기준 국제 시세는 약 3,536달러(OZS) 였습니다.
이를 원화 환율에 적용하면 약 491만 원 수준인데, 단위 차이 때문에 국내 금값과 바로 비교하기는 어렵습니다.

  • 국제 금 시세 단위: OZS(트로이온스, 약 28.3g)
  • 국내 금 시세 단위: 돈(3.75g)

즉, 1OZS는 약 7.5돈 정도에 해당합니다. 국내 금 시세(1돈 694,000원 × 7.5)를 계산하면 약 524만 원으로, 국제 시세보다 33만 원가량 비싸다는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3. 금을 저렴하게 사는 방법은?

금은방이나 종로, 온라인몰에서 직접 사면 공임비·세금·운영비가 붙어 실제 국제 시세보다 비싸게 살 수밖에 없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중고 골드바나 금화를 거래하기도 하지만, 위조품·사기 위험이 크죠. 전문가가 아니라면 **공인된 기관이나 금융상품(금통장, 금 ETF 등)**을 활용하는 게 안전합니다.


4. 마무리

금값은 오를 때도 있지만 반드시 조정 국면이 옵니다. 단순히 지금의 상승세만 보고 접근하기보다는, 국제·국내 시세 차이와 거래 비용까지 꼼꼼히 따져보는 게 중요합니다.

여러분은 금 투자를 직접 실물로 하시나요, 아니면 ETF 같은 금융상품을 선호하시나요?
댓글로 경험 공유해주시면 함께 이야기 나눠봐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