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유지냐, 당첨 확률 상승이냐
안녕하세요 콘테입니다
주택청약통장은 최소 2만 원만 넣어도 유지가 가능하지만, 실제 당첨을 노린다면 단순히 ‘유지’만으로는 부족합니다. 2024년 10월부터 월 납입 인정 상한이 25만 원으로 확대되면서, 어떤 전략으로 납입할지에 따라 청약 당첨 가능성과 세제 혜택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월 납입 인정 상한, 25만 원으로 확대
기존에는 월 10만 원까지만 인정되었으나, 이제는 최대 25만 원까지 납입액으로 인정됩니다.
- 최소금액 2만 원: 통장 유지 목적에 적합
- 최대 25만 원: 당첨 확률 상승 + 소득공제 혜택
즉, 단순 유지와 적극적 청약 준비 사이에서 선택지가 넓어진 셈입니다.
국민주택 vs 민영주택 납입금 기준
청약 유형에 따라 요구되는 납입 금액이 다릅니다.
청약 유형 최소 요구 납입금 특징
국민주택 | 수도권 10만 원 / 비수도권 5만 원 | 1순위 자격 조건 |
민영주택 | 10만 원 ~ 1,500만 원 | 지역·평형에 따라 상이 |
유지용 | 2만 원 | 단순 통장 유지, 당첨 점수엔 영향 적음 |
즉, 국민주택은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을 납입해야 1순위 조건이 주어지고, 민영주택은 고액 납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5만 원 납입의 실속: 소득공제 효과
- 무주택 세대주일 경우, 연 최대 240만 원 납입까지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 공제율은 40%로, 연말정산에서 상당한 환급 효과가 발생합니다.
- 특히 소득이 안정적인 청년·직장인이라면 당첨 확률 상승과 세금 혜택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전략이 됩니다.
최소 납입 2만 원 전략이 유리한 경우
- 당첨 가능성보다 당장 자금 유동성이 중요한 경우
- 월급이 일정하지 않아 고정 납입액이 부담될 때
- 장기적인 청약보다는 통장 유지 자체에 의미가 있을 때
이 경우엔 최소 2만 원만 넣어도 청약 자격은 유지되므로 안정적인 자산 관리에 적합합니다.
전략적 선택의 핵심
- 청약 목표: 국민주택 위주인지, 민영주택 대형 평형까지 고려할지
- 재무 상황: 월 납입 여유 자금이 있는지
- 세제 혜택 여부: 무주택 세대주 조건 충족 여부 확인
결론
주택청약은 단순히 ‘얼마 넣을까’가 아니라, 목표·자산·세제 혜택까지 고려해야 최적의 전략이 나옵니다. 자금 여유가 있다면 25만 원 납입으로 당첨 가능성과 소득공제 혜택을 동시에 노리고, 당장 유동성이 중요하다면 최소 2만 원으로 유지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결국 ‘내 상황에 맞는 전략’이 답입니다.
반응형